본문 바로가기
주식 투자/유튜브 내용정리

[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]하반기 불황을 이겨내는 총 투자법 정리(22.09.25)

by lolnow 2022. 9. 28.
반응형

1. 동학 개미 운동 당시 개인의 거래 대금은 8천조 정도가 된다. 시가 총액 2천조 정도인데, 공중 4회전을 돌려버리는 거래량이 된다.

 

2. 천만 원 이하 자산을 가진 사람들은 매일 30%의 자산을 거래 회전시킨다.

 

3. 코스피 지수는 20배 상승했지만, 시장 규모는 300배 증가했다. 거듭되는 증자와 신규 상장(IPO) 때문에

 

걸러야 할 회사 3가지 - 주식 발행만 활발한 회사  - 배당 안주는 회사(매너가 없다. 코스피 800여 개 회사 중에 600개 정도의 회사가 배당을 지급한다.) - 수익률 도수 분포표의 2가지 특징(+10% 수익률이 생길 확률이 20% 정도 / 나머지는 양극단의 수익률을 보인다.)

 

4. 그래서 첫 번째 대안 

 미국 소비자들의 지출이 늘 때, 소매 판매가 3달 연속으로 늘어날 때 한국 주식을 사고, 소매 판매가 3달 연속 줄어들 때 미국 국채를 산다.(미국 소매 판매는 HTS에서 확인 가능)

 

5. 두번째 대안

 50%미국 국채나 미국 주식을 사고, 50% 한국 주식이나 한국 채권을 산다.(50대 이상에게 강력 추천)

 

6. 세번째 대안(적립 투자)

 1) 1 : 1로 미국 국채와 한국 주식을 투자하고, 새로운 현금으로 리벨런싱 해주면서 투자한다.

 

 2) 30대를 위한 투자 1 : 1 : 1 = 미국주식 : 한국 주식 : 미국 국채 2/3가 주식에 투자하면 주가 급등시기에 투자 수익률이 좋고, 하락기에는 2/3이 미국 자산이라서 수익률 방어가 됩니다.

 

 3)40대를 위한 투자 부동산에 연연하지 않으면 성공한다. 최근 2년간 부동산 최대 버블이었다. 지금 집사는 것은 정신머리 없는 짓이다. 1 : 1 : 1 = 한국 주식 : 미국 채권 : 미국 리츠(REITs) 미국 리츠는 한국 부동산 만큼 오르고 배당까지 준다.

 

7. 원화는 현금이 아니다. 위기때 약해지는 건 현금이라고 할 수 없다. 미국 채권이 현금이다.

 

8. 현재 금리가 매력적이지 않다면 단기 국공채인 SHY(3%),  금리가 마음에 안들고 버틸수 있다. 하이일드 채권 HYG(5% 이상) ,  앞에 모두 마음에 안든다면 MBB(6%이상)를 추천한다.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