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레이 달리오 은퇴
2. 흑화 달리오
- 근 한 달 사이 더 부정적으로 변했다.
- 세 가지 요인 때문에 주식의 우상향은 힘들 것이다.
- 인플레이션 4~5%로 고착될 듯, 성장은 저성장 기조 유지
- 피봇팅 같은 건 없다. 주식 앞으로 20% 더 빠져야 한다.
- 스태그플레이션 2023년에 온다. 24년까지 더 힘들어질 일만 남았다.
3 - 1. 첫번째 요인
- 양적완화의 부작용
경제의 중력의 법칙 = 금리
- 우리 인생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일
엄청난 부채 증가와 부채를 갚기 위해 돈을 찍는 일
정부는 GDP의 5% 되는 채권을 발행하고 연준이 그걸 사줌
근데 연준이 다시 팔겠다네? 이건 도합 GDP의 10%
지금 채권 실질 수익률 마이너스인데, 그 채권 누가 살까?
더 이상 채권으로 돈을 충당하기가 힘들어짐
3 - 2. 두 번째 요인
- 국내 갈등 : 빈부격차
- 극에 달한 정치 양극화
- 그 외에
코네티컷의 고등학교 학업 부진율(자퇴 및 결석률 25% 이상) : 22%
빈곤율 및 범죄율 상승 중
이러한 갈등의 비용이 얼마나 될까?
3 - 3. 세 번째 요인
- 국제 갈등
4. 인플레 다음
- 처음은 인플레, 그 다음은 침체
성장률이 0%대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?
한 마디로 모아놓은 돈 까먹으면서 산다는 것
현금이 메말라서 벌어지는 현상 > 리세션 징후
주택과 자동차 시장 축소, 연체율 증가 등
5. 노동시장도 희망은 없다.
- 연준은 경제를 죽여야 한다
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실물 경제를 죽일 수 밖에 없다.
그러나 시장은 이러한 점을 반영하지 않은 듯 하다
그래서 앞으로 주식이 더 빠질 것이라고 보는 것
6. Cash is no longer trash
- Bond is new trash
- 모든 자산군의 "실질"수익률을 비교하고 분산투자하라
- 불행히도 지금은 모든 자산이 빠지는 시기... 덜 빠지는게 중요
- 마켓 타이밍 재지 마세요 제발!!!
'주식 투자 > 유튜브 내용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]여전히 주택 가격 높습니다, 달러 진정세를 대비해 미리 한국 주식을 사두세요. 지금이 기회입니다.(2022.10.17) (1) | 2022.10.18 |
---|---|
[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]리밸런싱을 안 해도 중수익을 주는 상품 3가지 알려드립니다.(2022.10.13) (0) | 2022.10.13 |
[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] (1) | 2022.10.09 |
[브자TV]일반인이 주식투자로 수익내기 어려운 이유(2022.09.26) (1) | 2022.10.03 |
[홍춘욱의 경제강의노트]하반기 불황을 이겨내는 총 투자법 정리(22.09.25) (1) | 2022.09.28 |
댓글